everyday-life

인간만사 새옹지마

kubectl 2024. 2. 1. 13:35
반응형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중국 고대의 사서인 《관자(管子)》에 나오는 고사성어이다.

塞翁失馬, 焉知非福? 塞翁得馬, 焉知非禍?

새옹이 말을 잃었으나, 어찌 그것이 복이 아닐지 알겠는가? 새옹이 말을 얻었으나, 어찌 그것이 화(禍)가 아닐지 알겠는가?


이 고사성어는 세상일은 앞날을 알 수 없으므로, 변덕스러운 인생을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새옹지마 스토리

새옹지마



옛날 옛적에, 중국의 어느 깊은 산골에 새옹이라는 노인이 살고 있었다. 새옹은 말 한 필을 가지고 있었는데, 어느 날 그 말이 길을 잃어버렸다. 새옹은 슬퍼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렇게 좋은 말이 길을 잃어버렸으니, 이건 분명히 내게 불행이구나."


그러나 그 말은 길을 잃고 다니다가 우연히 훌륭한 기수에게 발견되어, 새옹보다 훨씬 좋은 말로 키워졌다. 새옹은 이렇게 말하며 기뻐했다.

"이렇게 좋은 말이 돌아왔으니, 이건 분명히 내게 복이구나."


어느 날, 새옹의 아들이 그 말을 타고 사냥을 나갔다가, 우연히 산적을 만났다. 그 말은 빨리 달리며 아들을 구해냈다. 새옹은 이렇게 말했다.


이처럼 새옹은 말을 잃었다가 얻었다가, 아들이 위험에 처했다가 구해졌는 등, 여러 가지 우연한 사건을 겪으며 세상일은 앞날을 알 수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말을 잃어버렸던 것이 오히려 내 아들을 구한 것이었구나."

새옹지마 깨달음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는 고사성어는 세상일은 앞날을 알 수 없으므로, 변덕스러운 인생을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 인생도 새옹의 말처럼, 때로는 뜻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불행이 다가오기도 하고, 때로는 뜻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행복이 찾아오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세상일은 앞날을 알 수 없으므로, 변덕스러운 인생을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말고, 항상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가야 한다.

새옹지마 삶에 응용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일들은 모두 우연한 사건으로 인해 일어난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그것이 우리에게 행운이 될지 불행이 될지 미리 알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세상일은 앞날을 알 수 없으므로, 변덕스러운 인생을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말고, 항상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가야 한다.

만약 어떤 일이 일어나서 슬프거나 힘들어도, 그것이 우리에게 행운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이겨내야 한다.

또한, 어떤 일이 일어나서 기뻐해도, 그것이 우리에게 불행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항상 조심하고 경계하며 살아가야 한다.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는 고사성어는 우리에게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를 가르쳐주는 고사성어이다.

반응형